안녕하세요.
문의에 감사드리며

실내 공간에서 평수룰 고려할때는 그 실내의 오염도에 따라 적용하
셔야 합니다.

물론 제품에 적용 평형이 있으나 이는 최대치로 보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제조사에서는 되도록 제품의 최대치를 나타내므로 실제 적용할 때

반 정도로 줄여서 사용하시면 더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즉 제품에 30평형으로 되어 있으면, 15평 정도에 쓰시면 효과적이라
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30평에 못쓴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만큼 효과면에서는 떨
어진다는 것이지요.
또한 주의할 것은 이렇게 적용하는 것은 필터식의 경우에 한한다는
것입니다.
음이온 발생기의 경우에는 오존량의 문제때문에 필터식과는 반대로
사용하셔야 합니다. 즉 제품에 표시된 평수에 맞추거나, 더 큰 공간
에서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적용평형을 제대로 이해하시려면
실내의 오염원의 많고 적음에 따라 틀려집니다.
예로서 , 담배를 기준으로 한다면, 하루에 10여 개피 태우는
공간과 2개피 태우는 공간은 분명히 다르지요. 필터의 수명또한
다르게 됩니다.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은 담배뿐 아니라, 일반먼지, 외부의 분진
매연, 황사,꽃가루 등등 많은 요인이 있습니다.
이렇게 오염이 심한 정도에 따라 필터의 수명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제조사의 평형은 일반적인 실내공간을 기준으로
제조사의 개별적 기준을 적용한 것입니다.
(외국의 경우에는 풍량이나 필터링에 대한 기준이 정해져 있지만,
국내에는 기준이 없고, 오존(비리내)의 규제도 없는 실정입니다.)

실평수로 표시된 것은 실제 평용에 적용하면 충분히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해석하시면 좋으리라 봅니다.

답변이 되었는지요. 궁금하신점은 또 문의 주세요.
감사합니다.




----------------------------------------------------
초보 님의 글
예를 들어 30평형이라면 오염도가 일반 가정집 기준이고, 방이 없고
텅빈 30평 건물을 가정한 것입니까?


또, 30평형(실평수 14-18평) 이렇게 적혀있다면,
실평수의 의미은 무엇입니까?

공기청정기 회사에서 적어 놓은 적용 평수는 어떻게 이해하면 좋습니
까?
이 게시물을..